이번에는 키보드에서 사용할 QMK 펌웨어를 제작합니다.
보통 QMK를 사용하는 키보드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이 Atmega32u4칩이며 Teensy 2.0을 사용하는 이유또한 이 칩이 사용되어 제작하기 편하기때문에 풀와이어링 키보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선 M0110에 사용할 배열의 Raw Data가 필요합니다.
보통 풀와이어링시엔 Keyboard Layout Editor (keyboard-layout-editor.com)
Keyboard Layout Editor
Add Key Delete Keys Undo Redo Cut Copy Paste Star Unstar Save Save Download
에서 직접 레이아웃을 그릴 필요가 있습니다만 다행히 PCB를 공개한
GitHub - anthonyagarza/Apple-M0110-BT: a replacement pcb for the Apple M0110
anthonyagarza/Apple-M0110-BT
a replacement pcb for the Apple M0110. Contribute to anthonyagarza/Apple-M0110-B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에서 레이아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Raw Data에 들어가 제작시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최하단중 5행과 6행이나 7행 둘중하나를 제거하여준후 이 Raw Data를 복사해 줍니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만들어줄겁니다.
Keyboard Firmware Builder
kbfirmware.com
에 접속하여 복사했던 Raw Data를 붙여넣고 Import 시켜줍니다.

이제 매트릭스를 수정하여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잡아주는 매트릭스는 이상하게 되있을뿐더러 제가 제작한 PCB와도 핀맵이 맞지 않기때문입니다.

먼저 보시면 13행과 14행이 겹쳐있으니 Rows와 Columns의 숫자를 맞추어줍니다. Columns를 14로만 줄이면 될 것입니다.

이제 PCB파일을 KiCad로 열어 와이어링이 어떤식을 되있는지 하나씩 찍어본뒤에

키 하나하나의 행렬을 변경하여주시면

이렇게 제가 제작했던 PCB와 같은 와이어링이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Teensy 2.0의 핀과 매트릭스를 연결할 차례입니다.
와이어링 옆에 PINS로 들어가보시면 되는데 컨트롤러의 경우 기본으로 되어있는 Atmega32u4에서 변경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여기까지 끝나면 이제 키매핑을 한뒤에 컴파일하는것이 전부입니다.

키캡과 최대한 헷갈리지 않기위해서 건드리는것은 쓰지않는 캡스락을 윈도우에서 필요한 컨트롤로 바꿔주는 정도로 바꿔줬습니다.

마지막으로 SETTINGS에 가서 레이아웃 이름만 변경해주고

컴파일에가서 헥스파일로 다운로드하시면 펌웨어 제작은 완료입니다.
'Keyboard > Apple M01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M0110 실사하기 (PCB 제작편) (0) | 2021.07.12 |
---|---|
M0110 실사하기 (황변제거) (0) | 2021.06.04 |
M0110 실사하기 (분해편) (0) | 2021.06.01 |
M0110 이베이 낙찰 (0) | 2021.06.01 |